김태용 (1969년)

활동 기간1997년~현재배우자탕웨이(2014년 ~ 현재)[1]자녀1녀

김태용(1969년 12월 9일 ~ )은 대한민국영화 감독, 각본가이다. 그는 1997년 단편 영화 《열입곱》으로 영화계 입문하였다. 이후 1999년 영화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으로 상업영화 감독 데뷔하였다.[2]

학력

필모그래피

영화

연도 제목 감독 각본가 기타
1992 우주경찰 휴먼 파워
1995 비상구가 없다
1999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2003 이 공을 받아줘 단편 영화
2005 이공 - seg. 이 공을 받아줘(Pass Me) 단편 영화
2006 온 더 로드, 투 아니요 다큐멘터리 영화
가족의 탄생
2007 155 마일 아니요 아니요 단편 영화, 제작
2009 시선 1318 단편 영화
모두들 하고 있습니까? 단편 영화
2011 만추 각색
오랜 연인들 단편 영화
2012 라잇 온 미 아니요 아니요 대본 감수
뷰티풀 2012 아니요 홍콩 영화
2013 주리 아니요 아니요 조감독
그녀의 연기 제작
차라도 한 잔, 영화도 한 편! 아니요 아니요 단편 영화
2014 신촌좀비만화 - seg. 피크닉 단편 영화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 단편 영화
2015 그녀의 전설 단편 영화
2016 2016 필름 판소리, 춘향뎐 다큐멘터리 영화
2018 꼭두 이야기 국악 공연 <꼭두>의 영화버전.
2024 원더랜드

기타 경력

연기

  • 2005년 영화 《동백꽃》 - 단역
  • 2005년 영화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 단역 (영화감독 역)
  • 2006년 영화 《모두들, 괜찮아요?》 - 단역 (장 감독 역)
  • 2007년 단편 영화 《155 마일》 - 제작
  • 2013년 네이버TV 웹드라마 《출출한 여자》 - 특별출연

경력

수상

같이 보기

각주

  1. 이혜인 (2020년 7월 2일). “중국 여배우 탕웨이, 김태용 감독과 올가을 결혼”. 경향신문. 2020년 10월 27일에 확인함. 
  2. 홍민기 (2014년 7월 2일). “탕웨이의 남자 ‘만추’ 김태용 감독 누구?”. 스포츠조선. 2020년 10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v
  • t
  • e
김태용 감독 영화
감독
  • 《열일곱》 (1997, 단편 영화)
  • 《창백한 푸른 점》 (1998, 단편 영화)
  •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1999)
  • 《이공 - 이 공을 받아줘》 (2003, 단편 영화)
  • 《온 더 로드, 투》 (2005, 다큐멘터리 영화)
  • 가족의 탄생》 (2006)
  • 《시선 1318》 (2008, 단편 영화)
  • 《모두들 하고 있습니까?》 (2009, 단편 영화)
  • 《만추》 (2010)
  • 《오랜 연인들》 (2011, 단편 영화)
  • 《그녀의 연기》 (2012, 단편 영화)
  • 《뷰티풀 2012》 (2012, 단편 영화)
  • 《차라도 한 잔, 영화도 한 편!》 (2013, 단편 영화)
  • 《신촌좀비만화》 (2014, 단편 영화)
  • 《피크닉》 (2014, 단편 영화)
  •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 (2014, 단편 영화)
  • 《그녀의 전설》 (2015, 단편 영화)
  • 《꼭두 이야기》 (2018, 단편 영화)
  • 《원더랜드》 (2024)
시나리오·각본
  • 《열일곱》 (1997, 단편 영화)
  •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1999)
  • 가족의 탄생》 (2006)
  • 《만추》 (2010)
  • 《그녀의 연기》 (2012, 단편 영화)
  • 《그녀의 전설》 (2015, 단편 영화)
  • 《꼭두 이야기》 (2018, 단편 영화)
  • 《원더랜드》
제작·프로듀서
  • 《그녀의 연기》 (2012, 단편 영화)
관련 인물
  • v
  • t
  • e
청룡영화상 감독상
1960년대
  • 이만희 (1963)
  • 유현목 (1964)
  • 김수용 (1965)
  • 이만희 (1966)
  • 김수용 (1967)
  • 유현목 (1969)
1970년대
  • 최하원 (1970)
  • 김기영 (1971)
  • 김효천 (1972)
  • 정진우 (1973)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최우수작품 | 감독 | 각본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 v
  • t
  • e
부일영화상 최우수감독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 정소영 (1970)
  • 정진우 (1971)
  • 유현목 (1972)
  • 정진우 (1973)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최우수작품 | 최우수감독 | 각본상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자연기 | 신인여자연기
  • v
  • t
  • e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대상
2010년대
2020년대
대상 | 최우수작품 | 감독 | 각본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 v
  • t
  • e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
2000년대
* 2010년 이후 대상으로 통합
대상 |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ISNI
  • VIAF
국가
  • 프랑스
  • BnF 데이터
  • 독일
  • 이스라엘
  • 미국
  • 한국
  • 네덜란드
기타
  • IdRef